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청년희망적금 만기환급금 일반 은행에 저축하지 마세요!

     

     

    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청년도약계좌 연계 납입

     

    '청년희망적금' 만기 시 '청년도약계좌'로 연계해 납입 가능하도록 조례특례제한법과 청년도약계좌 약관 개정하여 내년 청년희망적금 만기 전 제도가 개선될 예정입니다. 제도 개선 시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옮겨서 연계 납입할 수 있으며, 청년도약계좌 만기 시 총 407만 원 추가 수익이 발생됩니다. 먼저 청년도약계좌 알아볼까요?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70만원씩 5년간 납입하면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청년 전용 정책금융 상품입니다. 

     

    청년희망적금 연계

     

    청년희망적금은 만기 2년 동안 월 50만 원 한도로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저축 장려금)까지 합쳐 연 10% 안팎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환급금은 1인당 최대 1300만 원 수준으로, 청년도약계좌의 월 납입 한도인 70만 원을 넘어서지만 이 금액을 한 번에 납입할 수 있게 예외적으로 허용하겠다는 겁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월 5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는 '2년 만기 적금 상품'입니다. 중요한 혜택은 시중 이자 2 ~5% + 저축장려금 4%가 추가되어 총 6 ~ 9% 정도의 이자수익을 볼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자소득세는 비과세로 면제입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청년도약계좌 연계 납입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청년도약계좌 연계 납입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청년도약계좌 연계 납입
    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청년도약계좌 연계 납입

     

    청년도약계좌 연계 납입 시 혜택

     

    청년도약계좌 연계 납입 시 혜택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청년희망적금으로 매월 50만 원씩 2년간 납입하면 납입액은 총 1200만 원이며, 시중금리 2% 계산 시 이자는 211,500원입니다. 저축장려금 360,000원에 이자 비과세 38,500원을 모두 더하면  만기금액은 1,261만 원입니다. (시중금리는 은행마다 상이하므로, 최종 만기금액은 조금 달라질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청년도약계좌 연계 납입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청년도약계좌 연계 납입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청년도약계좌 연계 납입
    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청년도약계좌 연계 납입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을 청년도약계좌에 일시 납입하면, 청년도약계좌에 월별 납입 한도 기준(70만 원)으로 18개월간 납입할 금액을 미리 한번에 넣은 것으로 인정됩니다. 따라서 이후 19개월 차부터 매월 70만 원씩 납부하면, 이자 263만 원, 지원금 144만 원 등 총 407만 원 추가 수익이 발생됩니다. 

     

     

     

    청년희망적금 → 청년도약계좌…통장에 407만 원 더 들어온다

    정부가 청년희망적금의 만기가 도래하면 '청년도약계좌'로 연계해 납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www.mbn.co.kr

     

    물론, 청년도약계좌 연계 납입 방안은 아직 추진 중입니다. 내년 청년희망적금 만기 전 제도 개선이 우선입니다. 또한 청년들이 정책금융 상품인 청년도약계좌를 이용할지 여부는 선택 사항입니다. 하지만, 청년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정부지원제도는 시중 은행 상품과 비교해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혜택 받으시길 바랍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청년도약계좌 연계 납입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청년도약계좌 연계 납입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청년도약계좌 연계 납입
    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청년도약계좌 연계 납입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청년도약계좌 연계 납입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청년도약계좌 연계 납입
    청년희망적금 만기시 청년도약계좌 연계 납입

     

    반응형